아름지기재단

ENG
검색하기
전체메뉴 열기

궁궐 전각 정비 및
내부 집기 재현 프로젝트

덕수궁 전각 정비 및 내부 집기 재현 프로젝트

에르메스 코리아의 후원과 문화재청의 협력, 아름지기의 총괄 진행으로 이루어진 ‘궁궐 전각 정비 및 집기 재현 프로젝트’는 덕수궁 함녕전을 대상으로 하여 2015년, 찬 기운을 누그러뜨려 줄 무렴자를 드리웠고, 2016년에는 땡볕과 비바람을 막아줄 외주렴을, 2017년에는 왕의 위엄을 상징하는 용교의, 오봉병, 용문석을 재현하여 왕실의 품격을 높이는데 정성을 다했습니다.


서울의 여러 궁궐 중에서 관광객과 도심의 시민들 모두가 일상적으로 방문하는 덕수궁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하고, 많은 전각 가운데서도 고종의 마지막 거처로 알려진 함녕전에서 첫 사업을 수행했습니다. 2014년 아름지기는 문화재청, 덕수궁 관리소, 에르메스 코리아, 문화유산국민신탁과 함께 궁궐 전각의 내부 공간을 정비하고 과거 궁궐에서 사용되었던 기물들을 재현하는 사업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무릇 궁궐은 당대의 규범과 격식을 갖춘 최상의 건축물이며, 웅장한 건축물의 외관에 더하여 그 안에서 사용되던 모든 물품들이 그 시대 최고의 장인 정신과 예술혼, 기술력의 집약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각 내부를 정비하고 여러 공예품과 집기들을 재현하는 일은 최고 수준의 장인 정신을 계승해서 전통의 맥을 잇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한땀 한땀 정성 어린 손길로 완성된 기물이 제자리를 찾는 순간 전통 공예의 아름다움과 지혜로움, 그리고 그 안에 깃든 장인정신이 우리 궁궐에 오롯한 속 멋을 더합니다.

프로젝트 아카이브
공유하기
  • Year2015~현재
  • Location덕수궁
  • Sponsor에르메스 코리아
  • Cooperation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 Department문화기획팀 02-733-8374
    (프로젝트 코디네이션)
  •   

 

2015년 실행된 덕수궁 함녕전 정비 프로젝트는 크게 도배 및 장판 교체 공사와 집기 재현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집기 재현에는 자문위원단과 장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재현 물품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쳤고, 그 과정에서 왕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실증적 기록 자료들을 발견하게 되어 무렴자 재현을 결정하였습니다.
문헌에 따르면, 겨울에는 창문과 출입문에 초록색 솜 누비 무렴자를 쳤다고 하며,「한국주택건축」에서는 고리에 걸 수 있는 형태의 두 쪽으로 된 무렴자에 대한 설명과 함께 간단한 도안을 예시로 곁들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렴자는 방장과 달리 실견, 고증할 수 있는 유물이 남아있지 않아 집기를 재현하는 데 어려움이 컸습니다. 자문위원단, 전문가들의 연구와 논의 끝에 무렴자가 방장과 같은 성격의 집기라는 점에서 실견한 운현궁 방장 4점의 소재와 색상, 문양을 참고로 재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무렴자의 재현은 문헌에만 남아있는 기록과 유사 유물의 고증을 바탕으로 역사 속 기물을 실물로 제작한 작업으로써 궁궐 집기 재현에 새로운 선례가 되는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Year2015
  • Client아름지기
  • Sponsor에르메스 코리아
  • Cooperation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문화유산국민신탁
  • Consultant김소현_배화여자대학 전통의상학과 교수
    정민자_재단법인 아름지기 고문
    조효숙_가천대학교 부총장
  • Artisan김은영_매듭장,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 13호 매듭장 기능보유자
    유선희_누비장, 국가무형문화재 제 107호 누비장 이수자
    홍성효_소목장, 국가무형문화재 제 55호 소목장 이수자
    홍종진_배첩장,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 7호 배첩장 기능보유자
    온지음옷공방_화동문화재단 전통문화연구소
  • Department문화기획팀 02-733-8374
    (프로젝트 기획 및 코디네이션)